엘지씨엔에스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인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토탈 아웃소싱 및 AI, 클라우드·스마트팩토리 등 IT신기술 기반의 DX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엘지씨엔에스 상장, 수요 예측, 공모주 청약 일정, 청약 방법을 정리해보고 주가전망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에는 뉴스나 공시에 찾아볼 수 없는 정보들을 공지사항에 올리기도 하니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꼭! 확인해서 후회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제 블로그를 방문했으니 한 가지는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엘지씨엔에스 상장
엘지씨엔에스는 2024년 10월 4일 한국거래소 코스피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이후 12월 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AI,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등 디지털 전환(DX) 분야의 핵심 역량 강화와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특히, 공모 주식 중 절반은 기존 주주인 맥쿼리자산운용 PE본부(맥쿼리PE)가 보유한 지분의 구주 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맥쿼리PE는 2020년 LG CNS 지분 35%를 인수하였으며, 이번 상장을 통해 투자금 회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LG CNS는 1987년 설립된 이후 시스템 통합(SI), 클라우드, AI 등 다양한 IT 서비스를 제공하며,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상장을 통해 글로벌 DX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엘지씨엔에스 청약 일정
공모 주식 수 : 19,377,190주
엘지씨엔에스는 코스피 상장을 위해 총 1,937만 주를 공모합니다. 이는 기존 발행 주식과 추가 발행 주식을 포함한 수량으로, 주식을 공개 시장에서 일반 투자자들에게 판매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희망 공모가 범위 : 53,700원 ~ 61,900원
공모가는 주당 가격을 의미하며, 엘지씨엔에스은 주식을 53,700원에서 61,900원 사이에서 판매할 계획입니다. 최종 공모가는 수요 예측 과정을 통해 투자자의 관심도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공모 예정 금액 : 약 1조 406억 ~ 약 1조 1,994억원
공모 예정 금액은 공모 주식 수와 공모가를 곱해 산정한 금액으로, 엘지씨엔에스은 최대 약 1조 1,994억 원을 조달할 계획입니다.
수요 예측 기간 : 2025년 1월 9일 ~ 15일
수요 예측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가를 결정하기 위한 사전 조사 과정입니다. 이 기간 동안 기관들은 공모가에 대한 의사를 표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최종 공모가가 확정됩니다.
일반 청약 기간 : 2025년 1월 21일 ~ 22일
일반 청약은 개인 투자자들이 공모주를 신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 동안 일반 투자자들은 상장 주관사를 통해 공모주를 청약하며, 배정된 물량에 따라 주식을 구매하게 됩니다.
상장 예정일 : 미정
상장일은 엘지씨엔에스의 주식이 코스피 시장에서 정식으로 거래를 시작하는 날입니다. 상장 당일부터 일반 투자자들은 해당 주식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습니다.
납입일/환불일 : 2025년 1월 24일
- 납입일: 배정된 주식의 대금을 완납하는 날로, 투자자는 이 날까지 배정된 주식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 환불일: 청약 과정에서 배정받지 못한 주식에 대한 청약 증거금이 투자자에게 반환되는 날입니다. 배정받은 주식 수량이 신청한 수량보다 적을 경우, 남은 증거금이 환불됩니다.
상장 주관사 : KB증권, 모간스탠리, 메릴린치,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제이피모간, NH투자증권, 하나증권
KB증권, 모간스탠리, 메릴린치,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제이피모간, NH투자증권, 하나증권은 엘지씨엔에스의 코스피 상장을 지원하는 주관사로, 공모주 청약 및 상장 절차를 총괄적으로 관리합니다. 주관사는 기업의 상장 성공을 위해 투자자 유치와 홍보, 공모가 책정 등을 수행합니다.
일정과 금액은 청약 완료까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청약 방법은 위 버튼을 통해서 확인하십시오!
엘지씨엔에스 주가 전망
LG CNS는 클라우드 사업 성장과 AI 플랫폼 강화를 중심으로 2024년 매출 약 6조 원(+15%), 영업이익 약 6,500억 원(+20%)이 예상되며, 2025년에는 매출 약 7조 원, 영업이익 약 8,000억 원으로 지속 성장이 전망됩니다. 클라우드 전환 수요 확대, AI 플랫폼 ‘Dain’의 산업 적용 및 글로벌 시장 확장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경쟁사 비교에서는 삼성SDS(스마트물류 강점), SK C&C(컨설팅 강점)와 차별화된 AI 기술 리더십과 공공·제조업 중심의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는 클라우드 매출 비중 확대, AI 솔루션 시장 리더십 강화, 해외 시장 진출 확대로, 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 성장과 주가 상승이 기대됩니다. 다만, 시장 경쟁 심화와 IT 투자 경기 변동성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실적 및 최신 소식을 바탕으로 더 자세한 주가 전망은 위 버튼을 통해서 확인하십시오▲▲
주식에 투자해서 수익을 내고 싶은 분들이 이 글을 읽고 계실 겁니다. 그러나 주식의 기초 지식을 알지 못하고 투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에는 무상증자의 기초 지식을 정리한 글의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참고하여 더욱 깊이 있는 투자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