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은 차량의 센서, 통신, 인공지능 등이 집약된 미래 핵심 산업으로, 국내외 완성차 및 IT 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는 인포테인먼트, ADAS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소개하겠습니다.
다양한 호재들로 국내 자율주행 관련 종목들이 다시 상승 계도에 접어들었습니다.
중단기적으로 20% 이상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아래에서 추천드리겠습니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종목이 모두 상승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종목을 선정한다면 큰 수익을 내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관련주, 자율주행 테마주
자율주행 산업은 인공지능, 반도체, 통신, 센서, 소프트웨어 등이 융합되는 첨단 기술 산업으로, 국내 기업들도 이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차량용 반도체부터 ADAS, V2X 통신, 인포테인먼트까지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 만큼 관련 종목들도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지금부터 국내 자율주행 대표 종목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한국 자율주행 관련주 TOP15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는 하드웨어 부품, 소프트웨어 솔루션, 통신 기술, 센서 모듈 등 다양한 기술에 걸쳐 있으며, 각 기업들은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해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밸류체인을 구성해보겠습니다.
모트렉스(자율주행 대장주)
모트렉스는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인 IVI(In-Vehicle Infotainment), HMI(Human Machine Interface), HUD(헤드업디스플레이), ADAS 등의 기술을 보유한 전장 전문 기업입니다. 현대기아차에 납품되는 IVI 시스템과 RSE 시스템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특히 인도 시장에서 제품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목적형 이동수단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살균 기능을 결합한 공기청정기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기술집약적 전장부품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핵심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개인 위생 니즈 대응을 위한 제품 확장과, 테슬라의 중국 FSD 소프트웨어 도입 이슈 등과 맞물려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모바일어플라이언스(자율주행 수혜주)
모바일어플라이언스는 스마트 자율주행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기업으로, 딥러닝과 빅데이터 기반 영상인식 기술을 중심으로 커넥티드 통신모듈과 연동된 ADAS, HUD, 졸음운전 감지장치 등 다양한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4년 설립 이후 현대모비스는 물론 BMW, 아우디, 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에도 납품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상용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해외 매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OEM 고객사 확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필요한 인식 기술의 정밀도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인포뱅크(자율주행 테마주)
인포뱅크는 커넥티드카 솔루션과 자율주행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특화된 IT기업으로, 차량 인포테인먼트와 통신 기술 기반의 스마트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은 기업용 메시징 서비스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최근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와 함께 커넥티비티 기술을 활용한 차량 관리 플랫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등 글로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의 호환성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전략적 기술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KEC(자율주행 관련주)
KEC는 전력 반도체 기술을 보유한 국내 대표 기업으로, 자율주행차의 필수 부품인 전력 모듈 및 터치스크린 관련 제품을 테슬라 등에 납품한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저전압 모스펫(Low Voltage MOSFET) 공급을 대형 LCD 제조사 및 전기차 플랫폼 중심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애플 자율주행차 부품 공급 기대감으로 인해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매출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 순이익도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실적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기술력 확보 및 생산라인 효율화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으며,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확산에 따라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칩스앤미디어
칩스앤미디어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컴퓨터 비전 및 고성능 비디오 코덱 기술을 보유한 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기업입니다. 차량 탑재 카메라 영상의 실시간 패턴 분석과 고해상도 영상 처리를 지원하는 슈퍼 레졸루션 기술 등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영상 인식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로벌 반도체 기업 NXP에 관련 기술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고객사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로열티 및 라이선스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카메라 기반 인식 솔루션의 필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만도
만도는 자율주행차의 핵심인 제동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의 전장부품을 제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입니다. 미국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 자격을 획득하고, 자체 자율주행 플랫폼 ‘하키(Hakhi)’ 개발을 통해 완전 자율주행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 스마트 스티어링 시스템, SPM 모듈 등의 기술은 자율주행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핵심 분야로, 글로벌 OEM과의 수주 확대와 함께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도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되었으며,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에서의 수주 호조로 글로벌 시장 확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라닉스
라닉스는 차량 간 통신 기술인 V2X(Vehicle-to-Everything)에 집중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및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입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 기술로 부각된 WAVE 및 C-V2X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는 통신 및 보안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에서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 모빌리티 영역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라닉스는 V2X 통신 및 인증 보안 기술을 통합한 독자적 플랫폼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수의 차량용 반도체 수요 기업과 기술 협업을 추진 중입니다. 향후 자율주행 상용화가 본격화되면 해당 기술은 차량 안전성과 통신 효율성의 필수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성장성이 기대됩니다.
엠씨넥스
엠씨넥스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및 이미지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핵심 부품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카메라 기반의 긴급제동 시스템과 자율주차 기능에 필수적인 영상 인식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애플카 프로젝트와의 연관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 휴대폰 카메라모듈 기술을 활용하여 고정밀 차량용 센서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다양한 OEM업체에 납품 실적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술 고도화 및 해외 수요 증가에 힘입어 반등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으며, 자율주행 상용화가 가속화될수록 영상 기반 인식 장치에 대한 수요는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텔레칩스
텔레칩스는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시장에 대응하는 차량용 반도체 전문 기업으로, 인포테인먼트용 AP칩과 통신 모듈을 중심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VI 시스템, Car Audio/AVN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주요 OEM과 협력 관계를 넓히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용 반도체 매출이 증가세를 보이며, 팹리스 구조 기반의 고효율 설계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스마트카 환경의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에 발맞춰, 향후 자율주행차용 통합 칩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팅크웨어
팅크웨어는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한 기업으로, 증강현실(AR)과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능을 탑재한 커넥티드 서비스를 통해 자율주행 센서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대표 브랜드인 ‘아이나비’를 통해 HD, QHD 블랙박스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차선이탈경보, 전방충돌경보, 앞차출발알림 등의 자율주행 기반 기능이 포함된 고기능 블랙박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5G, AI, 빅데이터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커넥티드 서비스로 확장을 꾀하고 있어 자율주행 시대의 차량 안전과 정보 전달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대성엘텍
대성엘텍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전장 기업으로, 자율주행 시대의 인포테인먼트 기술 공급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차량용 AV 시스템 및 앰프, 오디오 등을 현대모비스에 납품하고 있으며, 이는 완성차 브랜드인 현대차 및 기아차로 최종 납품되고 있습니다.
일본 알파인과 협업하여 도요타, 크라이슬러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도 부품을 공급한 이력이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능과 자동차 시스템을 연동하는 솔루션 개발을 통해 커넥티드카 기술 역량도 확보 중입니다. 자율주행차의 핵심인 운전자와 차량 간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분야에서 존재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에이디칩스
에이디칩스는 국내 유일 삼성 파운드리 파트너로, 자율주행 시대에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 설계를 진행하고 있는 팹리스 기업입니다. 자사의 SoC 플랫폼은 스마트 가전, 금융보안기기, 전자결제단말기 외에도 자율주행차의 제어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차세대 자율주행칩 생산과 연계된 수혜 기대감으로 관련 테마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냉동냉장과 패션잡화 등 다양한 사업 부문도 보유하고 있지만,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바로 반도체 IP 설계와 EISC MCU Core 기술로, 자율주행 제어용 칩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지속적인 기술 투자와 칩 생산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에이테크솔루션
에이테크솔루션은 정밀금형 및 정밀부품 제조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으로, 차량용 라이더 관련 부품을 개발하면서 자율주행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자동차 그룹과의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라이더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율주행차 기술 발전과 함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용 정밀구동부품 및 프레스 금형 등에서 국내외 주요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에 적합한 부품 개발을 지속하고 있어 자율주행 시대에 필요한 핵심 부품 기업으로 부각됩니다.
앤씨앤
앤씨앤은 영상처리 반도체와 블랙박스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관련 시스템 반도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자회사 넥스트칩을 통해 자율주차 및 ADAS 기능이 포함된 통합형 SoC를 개발 중이며, AI 및 딥러닝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차용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용 CPU인 ‘알데바란’을 공동 개발한 이력은 기술력과 시장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으며, 급성장 중인 자동차 전장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
LG이노텍은 자율주행 자동차에 필수적인 카메라 모듈, 라이다, 레이더 등 다양한 차량용 센서와 전장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대표 부품 기업입니다.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3대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특히 광학솔루션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성공했습니다. 애플과의 긴밀한 공급망을 바탕으로 차량용 고성능 카메라 부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및 전기차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센서 모듈 수주가 꾸준히 증가 중입니다. LG이노텍은 자율주행에 필요한 고정밀 센싱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핵심 기술 공급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대장주
자율주행 관련주 중에서도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표 종목을 대장주라고 부릅니다. 기술력, 시장 점유율, 글로벌 파트너십, 실적 성장성 등의 기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는 기업들이 대장주로 선정됩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특히 IVI, ADAS, HUD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자율주행 대장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국내 자율주행 대장주
국내 자율주행 대장주는 모트렉스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IVI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에 납품을 확대하고 있어 향후 성장성이 매우 높습니다.
모트렉스 주가 전망
1. 기업 개요
모트렉스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 어라운드 뷰 모니터(AVM),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 등 자율주행 핵심 부품을 개발 및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전기차 및 스마트카 확산에 따라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공급 확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 실적 요약 및 재무 안정성
-
2025년 1분기 실적 기준
-
매출 약 1,900억 원 (전년 대비 +72%)
-
영업이익 약 197억 원 (전년 대비 +80%)
-
순이익 증가와 수익성 지표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진 상황
-
-
재무 지표
-
부채비율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중이며, 영업현금흐름도 흑자 기조를 유지
-
ROE 및 영업이익률이 업종 평균 대비 경쟁력 있는 수준
-
PER은 13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은 부담 없는 편
-
3.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
-
핵심 기술 보유
-
IVI 및 DMS, AVM 기술은 자율주행 단계에서 안전성과 사용자 경험에 필수적 요소
-
인공지능 기반 운전자 인식, 전방 충돌 방지 기능 등을 적용한 신제품 라인업 강화
-
-
미래차 확대와 수혜
-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자율주행차 출시 확대에 따라 동사의 핵심 부품 채택률 상승 가능성
-
자회사와의 시너지 효과로 공급망 및 개발 능력 다변화 중
-
4. 주가 동향 및 투자 심리
-
최근 주가 흐름
-
2024년 고점 대비 하락세 지속 중, 현재는 9,000원대에서 횡보
-
거래량 감소와 이평선 하향 돌파로 단기적 기술적 반등 가능성은 제한적
-
-
시장 반응
-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자동차·전장 부품주의 약세와 맞물려 수급이 둔화된 상태
-
자율주행 테마 순환매 구간에서는 단기 급등 가능성 존재
-
5. 향후 전망 요약
구분 | 전망 내용 |
---|---|
단기 투자 판단 | 기술적 조정 및 수급 부담으로 인해 신중한 접근 필요 |
중장기 성장성 | 글로벌 자율주행·전기차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실적 및 주가 회복 가능성 |
리스크 요인 | 중국 OEM 의존도, 경쟁 심화, 기술 투자 부담 등 |
투자 전략 | 중장기 관점에서 실적 개선 지속 여부 확인 후 저점 매수 전략 유효 |
결론
모트렉스는 자율주행 관련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강점을 보유한 기업으로, 실적과 기술력 모두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수급 및 기술적 하락세로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과 스마트카 산업 확대에 따라 재평가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하는 전략적 접근이 타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