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트진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류 제조 기업으로, 맥주(하이트, 테라, 맥스)와 소주(참이슬, 진로 이즈 백)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소주 시장 점유율 1위인 하이트진로 배당금, 배당일, 지급일, 배당률, 배당락일, 주가 전망,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위 이미지를 클랙해서 다른 한국 배당주와 비교해보세요. “한국 배당주 더 알아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투자에 유망한 종목을 찾을 수 있는 핵심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
✅ 국내 주류 시장 점유율 1위
- 소주 시장에서 참이슬·진로 이즈 백이 강력한 점유율 유지
- 맥주 시장에서 테라를 앞세워 점유율 확대
✅ 해외 시장 확장
- 미국, 일본, 동남아 등 80개국 이상 수출
- 한류 열풍과 함께 K-소주·맥주 인기 증가
✅ 경기 방어주(Defensive Stock) 특성
- 경기 침체 시에도 주류 소비는 상대적으로 유지됨
-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도 가격 전가 가능성이 높음
✅ 배당 매력
- 최근 몇 년간 꾸준한 배당 정책 유지
- 배당수익률 2~3% 수준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
리스크 요인
⚠ 원자재 비용 상승
- 맥주 원재료(맥아, 홉 등) 및 병·캔 가격 상승이 비용 부담 요인
⚠ 소주 시장 경쟁 심화
- 롯데칠성(처음처럼), 무학(좋은데이) 등과의 경쟁 지속
⚠ 내수 의존도 높음
- 해외 시장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내수 매출 비중이 높음
하이트진로 배당금, 하이트진로 배당률
현재 하이트진로의 배당률은 3.67%이고 배당금은 매년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배당 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 비율입니다.
가장 최근 24년도 배당금은 1주당 700원 입니다. 만약 하이트진로 주식을 100주 가지고 있다면 70,000원을 배당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 수익에 15.4% 의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한 주당 700 * 0.846 = 592원이고 100주 당 59,200원 배당 받으실 수 있습니다.
최대한 빠르게 업데이트 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더 빠른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5년 2월 주가 기준으로 계산하면 위 표와 같이 연간 배당 받을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의 배당률은 약 3.67%이며 만약 1억원을 투자한다면 년에 약 367만원, 분기마다 약 91만원, 월에 약 30만원을 배당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 수익에 15.4%의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년에 약 310만원, 분기마다 77만원, 월에 약 25만원의 배당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률은 내가 수식을 언제, 얼마에 매수했는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아닙니다.
최대한 빠르게 업데이트 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더 빠른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 배당금 지급일, 하이트진로 배당락일
하이트진로는 분기 배당을 4월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배당락일은 12월말로 지정됩니다. 배당금 지급일은 약 3~4달 후로 지정되어 지급되고 있습니다.
최대한 빠르게 업데이트 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더 빠른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를 클랙해서 다른 한국 배당주와 비교해보세요. “한국 배당주 더 알아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투자에 유망한 종목을 찾을 수 있는 핵심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 주가전망
최근 주가 동향: 하이트진로의 주가는 최근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주류 시장의 침체와 가격 인상 효과의 소멸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실적 전망: 2024년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6,110억 원,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375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소주 부문의 안정적인 판매와 효율적인 판관비 집행이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의견 및 목표 주가: IBK투자증권은 하이트진로의 목표 주가를 기존 27,000원에서 25,000원으로 하향 조정하였으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주가 반등 모멘텀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해외 시장 확장 및 배당 매력: 하이트진로는 베트남 소주 공장 설립 등 해외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보통주 기준 주당 배당금을 950원으로 예상하며, 이는 약 4.9%의 배당수익률에 해당합니다.
종합 평가: 국내 주류 시장의 침체로 단기적인 주가 회복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해외 시장 확장과 안정적인 배당 정책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시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