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AMM은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차세대 메모리 모듈로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더욱 긴밀하게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국, 한국 SOCAMM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SOCAMM 관련주, 소캠 관련주
SOCAMM 기술의 부상으로 인해 관련 부품 및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해외 SOCAMM 관련주
엔비디아 (NVIDIA)
엔비디아는 SOCAMM 기술을 주도적으로 개발하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으로, GPU 및 AI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OCAMM을 통해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icron Technology)
마이크론은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SOCAMM과 호환되는 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삼성전자는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선두주자로, SOCAMM 기술과 관련된 메모리 모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텔 (Intel)
인텔은 CPU 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SOCAMM 기술과의 호환성을 고려한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AMD (Advanced Micro Devices)
AMD는 CPU 및 GPU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경쟁하는 기업으로, SOCAMM 기술과의 호환성을 고려한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SOCAMM 관련주
심텍 (Simmtech)
심텍은 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모듈 전문 제조 기업으로,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성능 기판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모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티엘비 (TLB)
티엘비는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전문 기업으로,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다층 PCB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메모리 모듈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따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OpenEdge Technology)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전문 기업으로, SOCAMM 기술 구현에 필요한 메모리 컨트롤러 IP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코리아써키트 (Korea Circuit)
코리아써키트는 PCB 제조 전문 기업으로,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다층 PCB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덕전자 (Daeduck Electronics)
대덕전자는 PCB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 전문 기업으로,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성능 기판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메모리 모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OCAMM 대장주, 소캠 대장주
해외 SOCAMM 대장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가 전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는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최근 몇 년간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힘입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 회계연도 1분기(2024년 9~11월) 실적 발표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87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79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특히, 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데이터센터 관련 매출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400%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모바일 사업부와 자동차 및 산업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감소하였으며, 2025 회계연도 2분기 전망치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79억 달러의 매출과 1.53달러의 EPS를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소식에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16% 이상 급락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장기적으로는 AI와 데이터센터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마이크론의 HBM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JP모건은 2025년 하반기부터 메모리 수요 증가와 함께 DRAM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마이크론의 총이익률 개선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내 SOCAMM 대장주
심텍 주가 전망
심텍은 반도체용 PCB 제조업체로, 최근 전방산업 수요 둔화와 고객사 재고 조정 등의 영향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3,2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PCB 재고 정책 강화와 일회성 비용 발생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증권사들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심텍의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도 목표 주가를 기존 31,000원에서 25,000원으로 낮췄으며, SK증권은 49,500원에서 21,000원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전방산업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으로 인한 수익성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심텍은 전장용 전력관리반도체(PMIC)와 마이크로컨트롤러(MCU)향 FC-CSP, 스마트폰용 무선주파수(RF)-SiP 등 신규 사업을 통해 전방산업 및 고객사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2025년 하반기부터 결실을 맺을 가능성이 있으며, 전반적인 업황 회복과 함께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실적 부진과 시장 변동성을 고려하면서도,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록3 관련주, 대장주 TOP10 | xAI, Grok3, 미국, 한국